삼성과 LG에서 갤럭시s3와 옵티머스LTE2용 무선충전기를 출시했습니다. 그러나 삼성과 LG의 무전충전방식은 다른 방식입니다. 갤럭시s3는 공진방식이고, 옵티머스LTE2는 자기유도방식이 사용되었습니다. 공진방식과 자기유도방식의 차이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먼저 삼성 갤럭시s3에 사용된 공진방식은 패드와 멀리 떨어져서 충전이 가능하지만 그 효율이 70%입니다. LG 옵티머스LTE2의 자기유도방식은 패드와 1~2cm정도로 가깝게 붙어있어야하지만 효율이 90%로 꽤 높은 충전효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무선충전기 알아보기


무선충전의 장점은 패드 하나면 여러기기를 동시에 충전할수있다는 것입니다
그덕분에 콘센트에 문어발처럼 여러 충전기가 꽂힐리가 없겠지요.
그럼 먼저 삼성갤럭시s3에 쓰인 무전충전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삼성갤럭시s3의 무선충전 원리(공진방식)
*공진방식: 소리굽쇠를 두드리면 다른 소리굽쇠가 공명하는 원리가 적용된 충전방식.
예로 성악가가 유리잔을 깨트리거나, 바람에 의해 생긴 주파수로 다리가 붕괴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송신기 역할의 충전패드에서 발생한 주파수와 수신기에 해당하는 디바이스에 장착된 코일사이의 공명으로 전기를 주파수를 지닌 자기 파장으로 바꿔 수신기로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수미터 내에서도 충전가능한 방식으로 주파수만 맞추면 여러기기들을 원거리에서 충전가능합니다.
삼성갤럭시s3의 경우 20~30cm 거리에서 충전이 된다고합니다. 하지만 충전효율이 70%밖에 안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효율성이 문제가 안되는 우주공간 같은 특수한 경우에 좋은것같습니다. 갤럭시s3알아보러가기
다음은 LG 옵티머스 LTE2의 무전충전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LG 옵티머스LTE2의 무전충전방식(자기유도방식)
*자기유도방식: 이미 10년전에 개발된 기술로 전자기 유도방식으로서 발전기나 변압기에 사용되는원리입니다.
LG 옵티머스LTE2의 자기유도방식은 세계무선충전협회(WPC)의 표준으로 지정된 무선충전방식입니다.
LG 옵티머스LTE2 알아보기~
자기유도방식은 충전패드의 코일에 전류가 흘러 자기장이 발생하면 바로위에 있는 코일에 자기장의 변화가 생겨 위의 코일에도 전류가 흘러서 충전이 되는 것입니다.
예로 진동칫솔의 충전이 있고 진동칫솔의 충전부를 보면 금속으로된 부분은 없고 플라스틱밖에 없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자기유도방식의 단점은 패드와 기기사이의 충전 가능한 거리가 1~2cm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즉 충전패드에서 떨어진 순간 충전이 되지않는 것입니다. 그러나 공진방식에 비해 충전효율이 매우 높은 90%의 효율을 보입니다. 또한 충전패드와 기기가 가까이 있을수록 충전효율이 높아집니다.
인체에는 무해하며 충전효율이 월등하지만 거리의 한계를 지닌 옵티머스LTE2 자기유도방식과
인체에 유해할수 있고 충전효율이 낮지만 원거리 전력전송이 가능한 갤럭시s3 공진방식.
아직까진 공진방식의 단점이 크게 느껴지지만 미래엔 두 기술이 합쳐질수도 있고 유용하게 쓰려면 공진방식이 더좋을것 같아보이네요~
먼저 삼성 갤럭시s3에 사용된 공진방식은 패드와 멀리 떨어져서 충전이 가능하지만 그 효율이 70%입니다. LG 옵티머스LTE2의 자기유도방식은 패드와 1~2cm정도로 가깝게 붙어있어야하지만 효율이 90%로 꽤 높은 충전효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무선충전기 알아보기


무선충전의 장점은 패드 하나면 여러기기를 동시에 충전할수있다는 것입니다
그덕분에 콘센트에 문어발처럼 여러 충전기가 꽂힐리가 없겠지요.
그럼 먼저 삼성갤럭시s3에 쓰인 무전충전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삼성갤럭시s3의 무선충전 원리(공진방식)
*공진방식: 소리굽쇠를 두드리면 다른 소리굽쇠가 공명하는 원리가 적용된 충전방식.
예로 성악가가 유리잔을 깨트리거나, 바람에 의해 생긴 주파수로 다리가 붕괴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송신기 역할의 충전패드에서 발생한 주파수와 수신기에 해당하는 디바이스에 장착된 코일사이의 공명으로 전기를 주파수를 지닌 자기 파장으로 바꿔 수신기로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수미터 내에서도 충전가능한 방식으로 주파수만 맞추면 여러기기들을 원거리에서 충전가능합니다.
삼성갤럭시s3의 경우 20~30cm 거리에서 충전이 된다고합니다. 하지만 충전효율이 70%밖에 안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효율성이 문제가 안되는 우주공간 같은 특수한 경우에 좋은것같습니다. 갤럭시s3알아보러가기
다음은 LG 옵티머스 LTE2의 무전충전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LG 옵티머스LTE2의 무전충전방식(자기유도방식)
*자기유도방식: 이미 10년전에 개발된 기술로 전자기 유도방식으로서 발전기나 변압기에 사용되는원리입니다.
LG 옵티머스LTE2의 자기유도방식은 세계무선충전협회(WPC)의 표준으로 지정된 무선충전방식입니다.
LG 옵티머스LTE2 알아보기~
자기유도방식은 충전패드의 코일에 전류가 흘러 자기장이 발생하면 바로위에 있는 코일에 자기장의 변화가 생겨 위의 코일에도 전류가 흘러서 충전이 되는 것입니다.
예로 진동칫솔의 충전이 있고 진동칫솔의 충전부를 보면 금속으로된 부분은 없고 플라스틱밖에 없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자기유도방식의 단점은 패드와 기기사이의 충전 가능한 거리가 1~2cm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즉 충전패드에서 떨어진 순간 충전이 되지않는 것입니다. 그러나 공진방식에 비해 충전효율이 매우 높은 90%의 효율을 보입니다. 또한 충전패드와 기기가 가까이 있을수록 충전효율이 높아집니다.
인체에는 무해하며 충전효율이 월등하지만 거리의 한계를 지닌 옵티머스LTE2 자기유도방식과
인체에 유해할수 있고 충전효율이 낮지만 원거리 전력전송이 가능한 갤럭시s3 공진방식.
아직까진 공진방식의 단점이 크게 느껴지지만 미래엔 두 기술이 합쳐질수도 있고 유용하게 쓰려면 공진방식이 더좋을것 같아보이네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