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판매점에서는 기존 3G 스마트폰 이용자에게는 3G 모델을, 최고 사양 플래그십 휴대폰을 원하는 이용자에게는 LTE 모델 예약가입을 추천하고 있었습니다.
갤럭시s3 3G보다 높은 사양을 가진 LTE가 나왔음에도 3G와 LTE 사이에서 고민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아무래도 LTE 모델은 요금제가 비싼 만큼 기존에 3G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데이터를 많이 쓰는 이용자는 갤럭시S3도 3G 모델을 많이 찾는 추세인 것 같아요.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LTE의 구매량도 적지가 않죠. 3G와 LTE 의 장점을 파헤쳐보죠!
▲ 갤럭시S3 3G 모델
■3G 모델, 요금-데이터 무제한 경쟁력
아무래도 갤럭시S3 3G 모델의 경쟁력은 LTE 대비 저렴한 요금, 데이터 무제한이죠. 갤럭시s3 3G 보러가기
갤럭시s3 구매자들 중 3G 대비 비싼 LTE 요금제에 부담을 가진 분들도 많다. 단말 요금 자체도 3G가 10만원 가량 싼 만큼 최대한 저렴하게 갤럭시S3를 사용하길 원하는 고객에게는 3G 모델을 추천합니다.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쓸 수 있다는 점도 장점! LTE에서는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가 없는 만큼 데이터 통화를 많이 쓰는 이용자 입장에서는 3G 모델이 유리한 셈인거죠.
데이터 속도도 LTE보다는 못하지만 기존 3G폰 보다는 훨씬 빠르다는 설명도 내놨다. 3G 스마트폰에 비해 빠른 3.5G 수준이라는 얘기죠. 갤럭시S3는 3G 모델의 데이터 통신방식으로 3G 중 가장 빠른 진화형 고속패킷접속(HSPA+)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같은 3G폰이라도 갤럭시S3의 데이터 통신 속도가 훨씬 빠릅니다. 갤럭시s3 LTE와 속도만 따진다면 갤럭시S3 3G 모델도 떨어지지 않다고봅니다.
실제로 3G 모델에 대한 호응도도 높습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갤럭시S3 3G 모델은 판매 시작 후 하루 평균 1만대 이상이 팔리고 있다고 하네요.
SK텔레콤 관계자는 “3G 모델의 판매 추세가 나쁘지 않다”며 “3G 스마트폰에 대한 고객 수요를 갤럭시S3 3G 모델이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LTE, 최고 사양-데이터 속도로 인기
다만 휴대폰의 사양에 민감한 이용자에게는 3G 모델이 2% 부족하죠. 3G 모델은 LTE 모델보다 한 단계 낮은 사양을 채택했기 때문이죠.
갤럭시s3 LTE 보러가기~
갤럭시S3 3G 모델은 엑시노스 쿼드 프로세서와 1GB 램, 16GB 내장 메모리를, LTE 모델은 엑시노스 쿼드 프로세서와 2GB 램, 32GB 내장 메모리를 탑재. 2GB 램을 탑재한 LTE 모델이 여러 개의 앱을 실행시킬 때 시스템 안정성이 더 좋다는 설명이다. LTE 모델에서는 3G 모델에서 제외한 DMB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LTE 모델의 가장 큰 장점은 빠른 데이터 통신 속도다. LTE는 기존 3G 대비 5배 빠른 데이터 속도를 자랑하는 4세대 통신 방식입니다.
![]() |
여기에 갤럭시S3부터는 이동통신사들이 도입한 최신 LTE 기술이 적용됩니다. SK텔레콤은 갤럭시S3 LTE에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식으로 멀티캐리어(MC) 기술을 적용한다고 밝혔습니다. 멀티캐리어는 동일한 커버리지에 두 개 주파수를 LTE에 이용해 특정 주파수 대역에 몰린 트래픽을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휴대폰 시장이 LTE로 넘어가면서 트렌드에 민감한 고객들이 갤럭시S3 LTE에 대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리점에서는 하루에도 갤럭시S3 LTE에 대해 문의하거나 예약가입 하기 위해 들르는 고객들이 많다고 합니다.
갤럭시s3 구매자들은 3G와 LTE에 대해 한번 더 신중히 생각하고 구매하시는게 좋을꺼같네요~^.^ 아 대리점에 문의해보는 것도 빠른 방법이겟네용~
댓글 없음:
댓글 쓰기